Episódios
-
커피타임 - (4부) 하지만 늦었죠?
-
커피타임 - (3부) 불편한 이야기
-
Estão a faltar episódios?
-
커피타임 - (2부) 사회적 지능
-
커피타임 - (1부) 코스피와 집값
-
노마진 푸줏간 가맹문의 : 1551-8116
노마진 푸줏간 홈페이지 : https://nomarginbutchers.com/
--------------------------------------------------------------
다양한 산업과 직업의 뒷이야기를 파헤쳐 보는
이것은 협찬인가, 콘텐츠인가
이번 화의 주인공은
고깃집 전문 프랜차이즈
고반 홀딩스의 이만재 대표입니다.
이만재 대표님은 이번에 런칭한 브랜드
'노마진푸줏간'을 홍보하기 위해 출연하셨는데요.
'노마진푸줏간'은 프리미엄 숙성 소고기와 한돈 구이를 파는 고깃집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물량의 돼지고기를 구매하기 때문에
고깃값이 정육식당만큼 싸다는데요.
고기 공급 가격이 평균 도매가에 정비례하도록
'투명정률공급제'를 도입한 덕분에
점주님들이 쉽게 재료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주방 조리 인력도 필요 없고 고기도 손님이 직접 굽는 콘셉트라서
인건비도 매출의 10%대에 불과하다는데요.
고깃집 프랜차이즈 창업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쯤 관심가져보시면 좋겠습니다!
열번째 가맹점까지는 가맹비가 면제래요!
노마진푸줏간과 김치옥, 그리고 이만재 대표님
흥해라!!!!
출연문의: [email protected]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2009년 가입한 실손보험이 있는데요, 기존에 약 29,000원이었던 보험료가 이번달부터 8만원대로 인상이 된다고 합니다. 전체 납입기간은 30년이고 보험기간은 2083년까지입니다. 앞으로 14년간 납부를 더 해야하는데요, 실비보험은 100% 소멸되는 보험이니 다른 보험으로 전환할 것을 권유하더라구요.
지금까지는 건강했으니 병원갈 일이 그리 많지 않았지만, 나이가 들면 병원 갈 일이 많아질수도 있는데, 인상된 보험료를 납부하면서 유지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갈아타는게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
앞으로 갱신되면서 금액이 더 올라갈수도 있을텐데, 혹시 인상될 수 있는 최고 한도같은 게 있을까요?
또, 제가 나중에 병원 갈 일이 많아져서 보험금 청구를 많이 하게 되면, 자동차보험처럼 보험료가 인상되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인상된 보험료로 8만원씩 내더라도 제가 낸 보험료는 돌려 받을 수 없는 거겠죠?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상법개정안,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 통과
2) 美, 베트남 관세 인하… 우회수출엔 여전히 고관세
3) 美 6월 고용 지표 선방… 금리 인하 기대 꺾이나
4) ‘국민 물병’ 델몬트, 통조림 식품 고집하다 파산 신청
5) 불법도박에 1조8천억 돈세탁 도운 PG사 적발
- 서영태 연합인포맥스 기자
- 박세훈 작가
- 김현우 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1,2부
러브버그의 유전자를 분석해봤습니다
- 신승관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아파트에서 월세로 거주 중이며, 내년 3월 말에 계약이 종료될 예정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다른 동에는 친구 어머님 명의의 아파트가 있는데, 그 집에는 현재 세입자가 살고 있고 올해 12월 말에 계약이 끝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친구가 급하게 자금이 필요해서 해당 아파트를 매도하거나 전세로 내놓으려 했지만 쉽게 진행되지 않아, 저에게 전세로 들어오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습니다. 전세보증금은 1,300만 원이고, 친구가 당장 돈이 필요하다고 해서 1,000만 원을 계약금과 중도금 명목으로 먼저 보냈습니다. 등기부등본에는 3,700만원으로 기재되어 있고, 근저당권이 2,600만 원 설정되어 있습니다.
확정일자만 받으면 우선변제권이 생기는지, 이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그리고 제가 앞으로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카드론도 규제 포함… 서민 급전 창구 사라진다
2) 트럼프 감세안에 반도체 웃고 전기차 울었다
3) 현대로템, 폴란드에 K2 수출… 역대 최대 9조 규모
4) ‘건대CGV 펀드’ 상장 폐지… 부동산 펀드 주의사항은
- 박세훈 작가
- 손석우 경제뉴스큐레이터
- 김현우 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1부
[주가 왜 이래]
은행주 고공행진, 대출규제에 끝?
-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
2부
[사이언스가 머니]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 네오디뮴
- 박동현 과학동아 기자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저희 친형이 어쩌다보니 개인파산을 하게 되었고, 이후엔 가족과 함께 월세를 살며 매월 일정금액을 변제하고 있습니다. 어머니는 힘들어 하는 형에게 따로 방을 얻을 수 있는 돈을 주려고 하십니다.
파산을 신청한 형에게 증여가 가능한지, 증여를 하려면 세금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만약 증여가 되지 않는다면 빌려줄 생각도 하시는데요, 가족간에도 차용증을 작성하고 돈을 빌려줄 수 있다고 들었는데, 파산 중인 상황에서도 돈을 빌려주는 것이 가능할까요?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미국이 문제삼는 약값 인하 정책.. 소비자 부담 올린다?
2) 회사채 81%가 차환용… 기업들, 빚 돌려막는다
3) 금감원, ’상법개정 회피‘ 태광산업 교환사채에 제동
- 김치형 경제뉴스큐레이터
- 노유정 한국경제신문 기자
[친절한 경제]
왜 세일은
6월에 많이 하나요? -
1,2부
수능 설계자가 말하는 대한민국 입시의 병폐
-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아파트 전세를 주고 있는데, 현재 세입자와의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계약을 종료할 예정입니다. 현재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겠다고 했지만, 제가 실거주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 거절하였습니다.
그랬더니 제게 내용증명서류를 보내겠다고 하네요. 내용증명의 목적은 허위로 계약갱신 거절이 밝혀질 경우 추후 민사소송에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현재 세입자가 나가고 나면 제가 이 아파트에 실제로 거주할 예정인데요. 내용증명을 보낸다고 하니 혹시나 문제가 있을까봐 걱정입니다. 실제로 거주를 할 예정이지만 살다가보면 저도 예상치 못한 사정으로 이 집을 매도해야 할 수도 있을텐데요, 만약 매도를 하게 된다면 매도가 인정되는 구체적인 사유가 있는 건가요? 아니면, 저의 사정과 상관없이 매도할 경우 무조건 세입자에게 피해보상을 해야 하는 건가요? 또한, 이 집을 매도하기 위해서 실 거주 해야하는 의무기간이 있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상호관세 유예 만료 D-7.. 연장 가능성은?
2) '6.27' 가이드라인 발표.. 신생아 대출 완화도 취소
3) 전기차 전환지원금 신설.. 최대 200만원 추가 지원
4) 오늘부터 헬스장·수영장 비용도 소득공제
- 김치형 경제뉴스 큐레이터
-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 조미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
1부
[텍코노미]
마소 VS 오픈AI, 균열이 시작됐다?
- 김덕진 소장 (IT커뮤니케이션 연구소)
2부
[쩐설의 김선생]
한반도 최고의 아웃풋, 정주영
- 김재원 역사학자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현재 편의점을 운영 중인데, 요새 경기도 안 좋고 나이도 들어서 폐업을 고민 중에 있습니다. 그러다 노란우산공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사연 보냅니다.
저희는 2012년에 노란우산을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가입기간이 길어지다보니 납입한 금액도 많아지고 이자도 천만원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만약 폐업을 하게 되었을 경우 이 돈을 일시금으로 받아야 할지, 분할해서 받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세금부분이나 건강보험료 때문에 걱정이 되네요.
분할해서 받을 경우 장점은 무엇이고, 분할기간은 어느 정도로 하는게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사람은 폐업하면서 세금이나 건강보험 폭탄을 맞았다고 들어서요.. 납입할 때보다 받을 때가 중요한 것 같은데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
[이슈 인터뷰]
6.27 부동산 대책, 시장 영향은?
- 김건우 대표 (분전 아카데미) -
1,2부
우리 직장 최악의 문제는 출구전략의 부재입니다
- 이철승 교수(서강대 사회학과) - Mostrar ma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