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
커피타임 - (3부) 일단 시작하면 짧게는 못해요
-
커피타임 - (2부) 답하는 건 저희 맘이고요
-
Episodes manquant?
-
커피타임 - (1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이민법인 대양 : https://www.dyimin.com/
전화문의: 02-556-7779
출연문의: [email protected]
--------------------------------------------------------------
다양한 산업과 직업의 뒷이야기를 파헤쳐 보는
'이것은 협찬인가, 콘텐츠인가'
이번 화의 주인공은 이민 컨설팅 전문 법인 대양의
김지선 대표, 남지영 변호사입니다.
김지선 대표님은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했는데요. .
만나는 교수님마다 꼭 남으라고 당부할 정도로 사랑받는 학생이었지만,
영주권이 없단 이유로 취직이 여의치 않아 결국 귀국해야 했습니다.
대표님은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민법인 대양을 창업했는데요.
대양에서는 미국 변호사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성공적인 영주권 취득을 위한 빈틈없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넓은 세상을 향한 원대한 꿈
믿음직한 대양과 함께 걱정없이 펼쳐보세요!
이민법인 대양 흥해라!
※손경제 애청자들에겐 5%의 수수료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
이민법인 대양 : https://www.dyimin.com/
전화문의: 02-556-7779
출연문의: [email protected]
--------------------------------------------------------------
다양한 산업과 직업의 뒷이야기를 파헤쳐 보는
'이것은 협찬인가, 콘텐츠인가'
이번 화의 주인공은 이민 컨설팅 전문 법인 대양의
김지선 대표, 남지영 변호사입니다.
김지선 대표님은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했는데요. .
만나는 교수님마다 꼭 남으라고 당부할 정도로 사랑받는 학생이었지만,
영주권이 없단 이유로 취직이 여의치 않아 결국 귀국해야 했습니다.
대표님은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민법인 대양을 창업했는데요.
대양에서는 미국 변호사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성공적인 영주권 취득을 위한 빈틈없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넓은 세상을 향한 원대한 꿈
믿음직한 대양과 함께 걱정없이 펼쳐보세요!
이민법인 대양 흥해라!
※손경제 애청자들에겐 5%의 수수료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세입자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입니다. 올해 10월이면 집계약이 만료돼서 이사하려고 하는데 고민이 있어 이곳에다 사연을 보냅니다. 계약이 만료되면 또다시 전세로 이사를 가야할지, 아니면 지방에라도 내 집 마련을 해서 이사를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이런 고민을 하는 이유는 상속 때문인데요, 저는 미혼이고 가족은 형제 밖에 없습니다. 현재 암치료 중에 있는데, 만약에 제가 사망하게 되면 형제가 저의 재산을 상속받게 될텐데, 어떤 절차를 거치게 될지 궁금합니다. 제가 사망했을 때 형제가 상속을 받으려면, 전세와 자가 중에 어떤 게 더 절차가 단순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한국, 1분기 경제성장률 '-0.2%'.. 수출 위기 커진다
2) 체코-한수원, 최종 계약만 남았다.. 원전 수주 기대감 ↑
3) 공인중개사들 "집 보여줄 때 돈 받겠다".. 임장료 논란
4) 수요-공급 안 맞는 특별공급 청약.. 제도 개선책은?
- 박세훈 작가
- 신재근 한국경제TV 기자
- 김현우 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1,2부
관세협상 포문 연 일본의 상황은?
- 이기태 박사 (세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보유 중인 아파트를 매도하면서 양도차액 6천만 원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알기론 샷시교체와 같은 자본적 지출에 대해선 필요 경비로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매수할 당시 샷시를 포함한 전체 인테리어를 진행하였고, 총 인테리어 비용 3,000만 원 중 샷시와 화장실, 바닥 공사와 관련해 현금영수증 1,000만 원 정도를 받았습니다. 다만, 돈을 이체할 때 이에 대한 별도 표시 없이 다른 공사비용과 합계 금액을 이체했고, 당시 받은 견적서만 보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필요 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또, 취등록세, 부동산 중개수수료외에 추가로 감면 받을 수 있는 필요 경비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政, 은행 점포폐쇄 절차 강화.. 딜레마 빠진 은행들
2) 기업들 “한전 전기료 비싸”.. 전기 직접구매 나선다
3) 차세대 배터리 선보인 중국..배터리 시장의 미래는?
- 나수지 한국경제신문 기자
- 손석우 경제뉴스 큐레이터
- 신재근 한국경제TV 기자 -
1부
[주가 왜 이래]
정치 테마주의 운명
-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2부
[사이언스가 머니]
북극이 움직인다?
- 이창욱 과학동아 기자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경제 공부를 위해 항상 즐겁게 듣고 있는 애청자입니다. 인버스 ETF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코스피200 ETF나 니케이225 ETF는 지수를 따라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약 1년 전쯤, 니케이 지수가 40,000포인트 정도일 때 인버스 ETF를 매수해서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니케이 지수가 약 38,000포인트 정도로 매수 시점보다 5%가량 떨어졌을 때의 ETF 가격을 보니, 제가 매수한 가격보다 오히려 더 떨어져 있습니다. 심지어 마이너스 2배인 ETF인데도 말이에요. 인버스라면 가격이 반대로 움직여야 되고, 2배라면 그 폭도 2배여야 하니까, 니케이지수가 5% 떨어졌으면, 해당 ETF의 가격은 플러스 10%가 돼야하는 것 아닌가요? 혹시,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제가 모르는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트럼프 “대중 관세율 크게 낮아질 것”.. 발언 주목
2) 국세청, MBK 탈세 혐의 조사한다.. 내용은?
3) 中 “희토류 제품, 미국에 수출 말 것”.. 韓 충격도 ↑
- 김치형 경제뉴스 큐레이터
- 손석우 경제뉴스 큐레이터
[친절한 경제]
미국은 기축통화국인데
왜 재정적자를 걱정하나요? -
1,2부
트럼프의 외교 정책, 세 가지에 핵심이 있습니다
- 조한범 박사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저는 2022년에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을 받아 지금까지 전세로 거주하고 있는 청년입니다. 2024년에 1월에 전세금의 증감 없이 1회 연장 갱신해서 살고 있는데요, 문제는 두 번째 갱신시점인 내년입니다. 저는 기존 대출을 유지하면서 계속 거주를 하려고 생각 중인데, 올해부터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이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대출상품으로 통합되었다는 이야길 들었습니다. 이 때문에 금리 변동이 있을지, 대출연장이 될지 궁금한데요, 현재 대출이자는 연 1.5%인데, 통합으로 인한 금리 변동이 있을까요? 그리고 올해 제가 퇴사예정이라 대출을 유지할 수 있는지도 걱정인데요, 제가 받은 중기청대출은 2022년 당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조건과 소득요건을 충족해서 승인받았던 상품인데, 2차 연장시점인 내년 1월에는 무직 상태일 것 같습니다. 그럼 더 이상 연장할 수 없는 건지, 아니면 상품 통합으로 인해 뭔가 달라질 수도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美 사모펀드서 발 빼는 차이나 머니.. 영향은?
2) 서울 오피스, 공실대란 났다.. 원인은 이중 침체
3) 현대차-포스코, MOU 체결.. ‘소재 동맹’ 맺었다
4) 한화-삼성SDI, 전기 잠수함 곧 나올까.. 기대감 ↑
- 김치형 경제뉴스 큐레이터
-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 조미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
1부
[텍코노미]
‘바이브 코딩’의 혁신
-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 연구소장
2부
[역사의 재원쌤]
서울 재개발의 명암
- 김재원 역사커뮤니케이터 (가톨릭대 겸임교수)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현재 아파트 2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를 딸에게 증여하려다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궁금해서 사연 보냅니다. 저는 34평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고, 27평짜리 반전세로 임대를 주고 있는 아파트가 한 채 더 있습니다. 그런데 딸아이가 결혼하게 되면서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를 주려고 생각 중입니다. 세를 주고 있는 아파트는 팔려고 내놨고, 팔리게 되면 그 돈으로 저는 조금 작은 곳으로 이사를 가려구요. 딸 아이에게 주려는 34평 아파트의 시세는 5억 5천만 원 정도 인데요, 이걸 딸에게 주면 어떤 세금이 얼마나 나오게 될까요? 언뜻 5억 원 이하면 그냥 물려줘도 된다고 들은 것 같은데, 시세가 5억 5천만 원이니, 팔아서 돈으로 주는게 더 나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세금은 전혀 모르니 무섭고 걱정이 되네요.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中, 최초로 ‘로봇 마라톤’ 열었다.. 남은 과제는?
2) 고꾸라진 지방 경기.. 활로 찾는 지방은행
3) 재활용 페트병 시장, 中 가짜원료에 그린워싱 당했다
- 조미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친절한 경제]
왜 미국 정부는 국채 매물이
쏟아지는 걸 걱정하나요? -
1,2부
대한민국 자살률이 세계 1위인 이유는?
- 김현철 연세대 의대·홍콩과기대 교수 - Montre p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