エピソード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현재 사학연금에 약 5년 째 가입 중입니다. 사학연금 가입 전에는 국민연금에 가입돼 있었고, 국민연금을 납부한 기간은 총 104개월로 확인이 됩니다. 현재는 이직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관련하여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다음과 같은 궁금함이 생겨 글을 남깁니다. 만약 사학연금을 10년을 채우지 않고 퇴직한 경우, 다시 국민연금을 납입하게 될텐데요, 그럼 사학연금이 아닌 국민연금을 받게 되는 거겠죠? 사학연금과 국민연금에 각각 납입한 월 납입금액도 다르고, 그에 따른 지급액도 차이가 있을텐데, 월 납입금액의 차액은 어떻게 반영이 돼서 국민연금을 지급받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사학연금에 10년 이상 가입을 하게 될 경우, 국민연금에 104개월간 납부한 돈은 어떻게 계산이 돼서 추후 연금에 영향을 미치는게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K콘텐츠 전망은?
2)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정도”.. 韓 협상카드는?
3) 늘어난 정책대출.. 하반기 대출문턱 높아지나
4) 政 “노인연령 높이고 정년 폐지”.. 중장기전략 발표
- 손석우 경제뉴스 큐레이터
- 박세훈 작가
- 김현우 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1부
[사이언스가 머니]
비만약 필요 없는 전기자극 다이어트
- 김태희 과학동아 기자
2부
투자 천재들의 포트폴리오
- 이윤수 에릭의 거장연구소 대표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S&P500 ETF에 적립식으로 투자를 하는 것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과거 수익률을 보면 안정적이고 높은 편이라 장기적인 투자 대상으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매월 적립식으로 S&P500 ETF를 사서 모은다고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20년 이상 장기간으로 투자할 때와, 목돈을 모으기 위해 단기간으로 2~3년 투자해서 매도할 때도 주의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S&P500 ETF도 종류가 많던데, 수수료의 차이는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수료 비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악성 미분양, LH가 사들인다?.. “CR리츠도 협의”
2) 우크라이나 전쟁, 美·러시아만 종전 회담 시작
- 김치형 경제뉴스 큐레이터
- 손석우 경제뉴스 큐레이터
[친절한 경제]
왜 은행과 금거래소의
금 가격이 다른가요? -
1,2부
트럼프가 끊은 해외원조, 국제사회의 미래는?
- 김영완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제 명의로 아파트 상가를 하나 보유하고 있는데요, 2023년 4월부터 2년 동안 임대를 주기로 하고,
보증금 150만 원에 월세 25만 원으로 계약을 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4월부터 월세가 입금되지 않기 시작하더니, 문자를 보내도 답장이 없고 이젠 아예 전화통화도 되지 않습니다. 결국 내용 증명도 보내봤지만 수취거부로 반송된 이후 시간만 흐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얼마 안 되는 금액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너무 답답합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담뱃세·주세 개편 논의.. “액상담배도 과세해야”
2) 시진핑, 中빅테크 수장단과 회담.. 중화권 증시 ↑
3) 해저 케이블, 훼손 늘었다.. 범인은 중국·러시아?
-김치형 경제뉴스 큐레이터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조미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
1부
[텍코노미]
인공지능과 인간의 지능
-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 연구소장
2부
[역사의 재원쌤]
롯데는 일본 기업일까?
- 김재원 역사학자 (가톨릭대 겸임교수)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전세 계약 만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만족해서 전세 연장을 원하는데요, 기존 부동산 중개인이 먼저 연장 여부를 물어 보셔서, 연장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럴 경우 그냥 그대로 거주를 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부동산 측에선 재계약을 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부동산 중개인 말로는 제가 거주 도중에 임대인이 변경됐기 때문에 재계약서를 작성해야 된다고 하는데요, 임대인이 도중에 변경된 건 이미 저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계약이 갱신되면 재계약서를 작성해야 되는 건가요? 계약서를 새로 쓰게 되면 수수료나 중개보수를 내야하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또, 현재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중인데, 집주인 변경으로 인해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연장이 안 될 수도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깊이 있는 경제뉴스]
1) 고공행진하는 금값.. 품절대란에 韓프리미엄도
2) 트럼프, TSMC에 인텔 투자 압박.. 가능성은?
3) 美, 금값된 달걀값.. 반려닭 수요 늘었다
4) 중단된 해피머니.. M&A 실패시 8%만 보상
- 안승찬 언더스탠딩 기자
- 정지서 연합인포맥스 기자
[친절한 경제]
국민연금도 해외주식
차익에 세금을 내나요? -
1,2부
난카이 대지진, 언제 올지 모릅니다
-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 -
1,2부
[역시나 박정호]
뉴노멀이 된 강달러, 전망은?
- 박정호 명지대 교수
w. 오승훈 아나운서 -
1부
[공부왕 이종훈]
다음 동계 아시안게임, 사우디에서 열린다
- 이종훈 스포츠평론가 (플레이볼 작가)
2부
[글로벌리포트]
사라지는 페니 | 인도의 팝콘세 | 필리핀의 쌀 부족
- 어예진 해담경제연구소장 -
커피타임 - (5부) 사회성 과외커피타임 - (5부) 과외가 필요해
-
커피타임 - (4부) 성공적인 인생
-
커피타임 - (3부) 진짜 혁명
-
커피타임 - (2부) 돈 돈 무슨 돈
-
커피타임 - (1부) 온누리
-
[고민사연]
안녕하세요. 올해 69세가 되는 주부입니다. 제가 가입한 실손보험은 5년마다 갱신이 되는데요, 현재 한달에 약 8만 1천 원 정도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올해 3월 4일이 되면 또다시 갱신이 되는데요, 갱신 후 보험료는 9만 8천 원이고, 다른 특약들의 보험료와 합치면, 거의 18만 원을 매달 납부해야 됩니다. 보험료가 너무 많이 인상 되어서, 차라리 실손보험을 해약하고 매달 18만 원씩 적금을 부을까 고민 중입니다. 보험료가 비싸더라도 실손보험을 유지는게 이익일지, 아니면 적금을 가입하는게 이익일지 알고 싶습니다. - もっと表示する